Pablo de Sarasate
수작(酬酌), 짐작(斟酌), 참작(參酌)
멀리서 벗이 찾아 왔다.
교통이나 통신 수단이 요즘 같지 않던 시절
산 넘고 물 건너 수십리 길을 마다 않고 걸어온
오랜 벗이 얼마나 반가웠으랴!
그리던 벗과 함께 주안상을 마주하고 술을 권한다.
“이 사람아…… 먼 길을 찾아주니 정말 고맙네,
이 술 한잔 받으시게."
주인이 따라 주는 술을 받아 마시고
“이토록 반갑게 맞이 해 주니 정말 고맙네.
그 동안 어떻게 지내 셨는가?” 하며
다시 잔을 되돌려 따라 준다.
이것을 수작(酬酌) 이라고 한다.
왁자지껄한 고갯마루 주막집
들마루에 장정 서넛이 걸터 앉았다.
"주모 여기 술 한 병 주게.
” 연지분 냄새를 풍기며 주모가 주안상을 가져다 놓는다.
“어이 주모도 한 잔 하실런가?”
한 놈이 주모의 엉덩이를 툭 친다.
(요즘 같으면 성추행으로 난리가 나겠지만……)
“허튼 수작(酬酌) 하지 말고 술이나 마셔~”
수작(酬酌)은 잔을 돌리며
술을 권하는 것이니 친해보자는 것이다.
주모의 말은 ‘친한 척 하지마라’
‘너 하고 친하게 지낼 생각이 없다’는 뜻이다.
도자기로 된 병에 술이 담기면 그의 양을 가늠하기 어렵다.
그래서 짐작(斟酌)을 한다
‘병을 이 정도로 기울어서 요만큼 힘을 주면……’ 하며
천천히 술을 따르는 것이다.
짐(斟) 은‘주저하다’ ‘머뭇거리다’라 는 뜻이 있다.
짐작(斟酌)은 미리 어림쳐서 헤아리는 것이다.
무슨 일에 앞서서는
먼저 속으로 어떻게 할 것인지 작정(酌定)을 해야 한다.
작정(酌定)은 술 따르는 양(酌量)을 정하는 것이다.
무작정(無酌定) 따르다 보면 잔이 넘친다.
술자리에서 무성의하고 상대방을 무시하는 가장 무례한 짓이다.
동산에 뜬 보름달이 서녘에 지고
은하수 별들이 제 빛을 잃을 때 까지 세상사 얘깃거리로
밤 새워 술을 마시고 싶지만
모처럼 찾아온 벗이 천성적으로 술이 약한지라
자칫 먼저 취해 곯아 떨어지기라도 한다면..
아뿔싸 낭패로다.
그래서 주인은 참작(參酌)을 한다.
제 잔은 가득 받고 벗에겐 반만 따라 주는 것이다.
그래야 둘이 같은 정도로 취해 기분 좋은 자리를 오래할 수 있으니...
도둑질을 한 머슴이 잡혀왔다.
관리가 들어 보니 사정이 딱했다.
“네가 비록 곡식을 훔쳤으나 가뭄에 흉년이라
품팔이하려고 해도 마땅한 일이 없고
병든 노모를 모시고 먹을 것이 없어
부득이 한 짓이니 죄값은 몇 달의 옥살이에 해당하나
정상(情狀)을 참작(參酌)하여 곤장 10대를 벌하노라!”
참작(參酌)은
상대방의 주량을 헤아리어 술을 알맞게 따라주는 것이다.
타인에 대한 ‘이해와 배려’이다.
수작/짐작/참작..헤아리는 연말연시 보내시길...
'▣ 글 > 생각하게 하는 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오띠번...ㅎ (0) | 2014.12.17 |
---|---|
행복 = 홀가분!? (0) | 2014.05.21 |
인맥관리 18계명 (0) | 2013.11.13 |
역발상 연습 / 사막(沙漠)에서... (0) | 2013.11.05 |
정주영을 울린 세 여인 (0) | 2013.11.0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