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차례상 차림법
- 1열 : 시접, 잔반을 놓고 메(밥)를 올린다.
- 추석 차례상에는 송편, 설날엔 떡국을 올린다.
- 2열 : 어동육서(魚東肉西) - 생선은 오른쪽, 육류는 왼쪽
- 두동미서(頭東尾西) - 생선의 머리는 오른쪽, 꼬리는 왼쪽
- 3열 : 고기탕, 생선탕, 두부탕 등의 탕류
- 4열 : 좌포우혜(左鮑右醯) - 왼쪽에 포, 오른쪽에 식혜
- 5열 : 조율이시(棗栗梨枾) - 왼쪽부터 과일, 약과, 강정
- 홍동백서(紅東白西) - 붉은 과일은 오른쪽
- 주의사항
- · 복숭아와 '치'로 끝나는 생선은 사용하지 않는다.
- · 고춧가루와 마늘은 사용하지 않는다.
- · 국물이 있는 경우(탕,면,식혜)는 건지만 쓴다.
음력 8월 15일, 한가위 또는 중추절(仲秋節)
<차례 지내는 순서>
<1> 재계(齋戒)
- 하루 전부터 집안 안팎을 청소하고 목욕 재계하여 차례를 위한 마음의 준비를 한다.
<2> 제상과 제구의 설치
<2> 제상과 제구의 설치
- 차례를 드릴 장소를 정하고, 미리 여러 제구를 깨끗이 닦아 준비한다.
<3> 제수(祭需) 준비
<3> 제수(祭需) 준비
- 주부이하 여러 여인들이 제수를 준비하나 남자들도 거든다.
<4> 제복입고 정렬하기
<4> 제복입고 정렬하기
- 명절날 아침 일찍 일어나 제복을 입고, 제상 앞에 남자들은 오른편(동)에 여자들은 왼편(서)에,
제주와 주부는 앞에 대체로 연장자 순대로 선다.
<5> 제상 차리기 - 먼저 식어도 상관없는 제수를 차린다.
<5> 제상 차리기 - 먼저 식어도 상관없는 제수를 차린다.
<6> 신위 봉안
- 고조부모이하 부모까지(물론 2대조, 3대조 등 가정에 따라 다름) 순서대로 신주나 지방을 모신다.
산소에서는 이 절차가 없다.
<7> 강신(降神, 신내리기)
<7> 강신(降神, 신내리기)
- 주인이 읍하고 꿇어앉아 향을 세 번 사르고 강신의 예를 행한다.
집사가 잔반에 따라 주는 술을 모사기에 세 번 나누어 붓고 재배한다.
산소에서는 땅바닥에 한다. 모사기란 곧 땅을 대신하는 제구이다.
산소에서는 참신 후에 강신한다.
<8> 참신(參神, 합동 참배)
<8> 참신(參神, 합동 참배)
- 주인 이하 모든 참사자들은 일제히 강림한 신에 대해 두 번 절하며 인사드린다.
<9> 진찬(進饌, 메와 국을 올리기)
<9> 진찬(進饌, 메와 국을 올리기)
- 식어서는 안될 메와 국 , 탕 등 모든 제수들을 윗대 조상의 신위부터 차례로 올린다.
<10> 헌작(獻酌, 잔 올리기)
<10> 헌작(獻酌, 잔 올리기)
- 제주가 주전자를 들어 고조부이하 차례로 술을 가득 올린다.
주부는 차례로 숟가락을 떡국에 걸치고 젓가락을 골라 음식위에 걸쳐놓는다.
이를 낙식(落食)이라고도 한다.
<11> 유식(侑食, 식사 권유)
<11> 유식(侑食, 식사 권유)
- 주인이 주전자를 들어 각 신위의 잔에 첨작을 한후 참례자 일동이 7-8분간 조용히
부복(업드릴[부=人+卜]伏)하거나 양편으로 비껴 시립(侍立)해 있는다.
<12> 철시복반(撤匙覆飯, 수저 걷기) :
<12> 철시복반(撤匙覆飯, 수저 걷기) :
숭늉 그릇의 숟가락을 거두어 세 번 고른 다음 제자리에 놓는다.
메 그릇의 뚜껑을 덮는다.
<13> 사신(辭神, 합동 배례) :
<13> 사신(辭神, 합동 배례) :
신위를 전송하는 절차다. 참사자 전원은 재배한다.
지방(紙榜)과 축문(祝文)을 불사른다.
신주는 사당으로 다시 모신다.
제사 절차는 이로써 모두 끝난다.
<14> 철상(撤床, 제상 정리) :
제상을 치운다.
<15> 음복(飮福, 음식 나누기) :
<15> 음복(飮福, 음식 나누기) :
참사자 전원이 제사 음식을 나누어 먹는다.
음복을 하면 조상들의 복을 받는다는 속신(俗信)이 있다.
기제와는 달리 이웃들을 초청하거나 음식을 이웃에 보낼 필요는 없다.
<16> 세배(歲拜, 새해 인사) :
<16> 세배(歲拜, 새해 인사) :
살아있는 사람들끼리 인사를 올린다.
물론 한 번만 절한다. 먼저 가장 연장자께 모두 절을 올리고,
부부간에도 맞절로 예를 행하며, 형제간에도 세배한다.
<성묘 순서>
1) 성묘 제수로 빼놓지 말아야 할 것은 주과포해(술, 과일, 포, 식혜)와 송편이다.
향, 향로, 돗자리, 흰 종이 등도 잊어서는 안될 중요한 준비물이다.
여러 조상의 묘가 있는 경우에는 부모의 묘를 먼저 찾는 것이 바른 예법이다.
2) 산소에 도착하면 차례를 지내기 전에 먼저 남자는 두 번, 여자는 네 번 절을 한다.
2) 산소에 도착하면 차례를 지내기 전에 먼저 남자는 두 번, 여자는 네 번 절을 한다.
3) 향을 피워 혼백을 모신 후 제주가 두 번 절을 하고 세 번에 나눠 술을 묘에 뿌린다.
4) 가족이 모두 함께 절을 한 후 제주가 술을 따라 상에 올리고 재배 한 후 물러나면
4) 가족이 모두 함께 절을 한 후 제주가 술을 따라 상에 올리고 재배 한 후 물러나면
주부가 젓가락을 시접 위에 걸쳐 놓고 네 번 절한 후 물러난다.
5) 10분 정도 뒤로 물러나 있다가 주부가 다시 젓가락을 내려 놓는다.
5) 10분 정도 뒤로 물러나 있다가 주부가 다시 젓가락을 내려 놓는다.
- 출처 : http://search.nate.com, 추석에서 -
'▣ 기타 > 아세요?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당신은 "엣지" 인생인가? "넛지" 인생인가? (0) | 2009.11.06 |
---|---|
승강기- Lady First. Oh ! No. (0) | 2009.11.05 |
위... (0) | 2009.09.14 |
카라꽃 (0) | 2009.08.13 |
2009 서울 통계 연보에서.. (0) | 2009.08.04 |